컨센서스

POA 합의알고리즘

엔트로피는 앞서 설명드린 바와 같이 트랜잭션의 검증 시간을 단축하고, 빠르게 최종성을 확보하기 위해 POA(Proof of Authority)방식의 합의알고리즘을 채택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21개의 노드를 기준으로 추가되거나 축소되지 않고 고정으로 운영합니다. 이는 노드 수를 줄여 유효성 검사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블록 생성주기를 짧게 하여 빠른 트랜젝션 처리를 가능하게 하여 네트워크의 스루풋을 향상시킵니다. POA는 최소의 수수료로 거래를 처리할 수 있고, 처리 속도 또한 매우 빠릅니다. POA 기반 '쿼럼' 블록체인 프로토콜에서 거래를 작성함으로써 투명성은 향상됐고, 퍼블리셔들은 거의 실시간으로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게 됩니다.

검증인 퍼미션

퍼블릭블록체인은 불특정다수의 참여로 인해 트랜잭션 검증에 대한 투명성이 높은 반면, 스캠 프로젝트의 러그풀 사태나 해커의 공격 가능성이 여전히 존재합니다. 이는 대부분의 퍼블릭블록체인이 가지고 있는 검증인의 비허가성으로 인해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엔트로피는 검증인의 참여에 퍼미션 단계를 두어 신뢰감있고 신원이 확인된 참여자만이 검증에 참여하여 검증을 단순화하고 안전하면서도 빠르게 최종성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합니다.

검증인 그룹 참여 조건

검증인으로 참여하기 위해서는 엔트로피를 공동으로 운영해 나가는 엔트로피 파운데이션의 일원이 되어야 하며, 일원이 되기 위해서는 엔트로피 파운데이션으로부터 승인을 거쳐야 하며, 거부될 경우는 검증인으로 참여할 수 없습니다. 승인은 정식으로 법적효력이 있는 엔트로피 파운데이션과의 계약을 통해 완료됩니다. 엔트로피 파운데이션은 계약 전에 검증인으로 참여하고 있는 기업 또는 커뮤니티에 새로운 검증인 참여에 대한 내용을 전파하고 의견을 듣습니다.

검증인의 변경이나 탈퇴는 엔트로피 파운데이션에서 의결을 통해 진행됩니다. 검증인으로 참여를 하게 되면 신뢰할 수 있는 계정과 프라이빗키를 통해 Validator를 운영하게 됩니다. 운영상 문제가 있다고 판단되는 검증인은 언제든지 엔트로피 파운데이션을 통해 패널티를 부여받고, 자격을 박탈당할 수 있습니다.

우리는 엔트로피 블록체인의 서비스 취지에 맞게 검증인 참여를 신뢰할 수 있는 기업에만 국한하지 않고, 다양한 국가별 NFT나 블록체인 커뮤니티로 확장해 나갈 예정입니다. 이를 통해 하나의 벨리데이터 운영에 보다 많은 사람들이 참여하는 기대효과가 만들질 것입니다. 각 벨리데이터는 참여하는 국가의 커뮤니티 그룹명 또는 기업명으로 관리 운영될 것입니다.

<엔트로피 내, Validator list>

Last updated